49제 계산(49재 계산) 방법, 상차림, 계산기 바로가기

안녕하세요 정보마스터입니다. 오늘은 49제 계산(49재 계산)하는 방법과 49제 상차림, 49제 계산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49제란?

49제(사십구재)는 불교 전통에서 돌아가신 분을 위해 죽은 후 49일 동안 진행하는 의식입니다. 이 의식은 고인의 영혼이 사후 세계에서 안락하게 머물 수 있도록 돕고, 윤회 과정에서 좋은 곳으로 태어날 수 있기를 기원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집니다.

49제 계산

49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총 7번의 기도를 드리는데 이를 칠칠재(七七齋)라고도 하며 의식 중에는 독경(경전 읽기), 참선, 공양(음식, 꽃, 물 등을 공양함) 등이 포함됩니다.

다만 현대의 49제의 의식을 간소화하여 사찰에서 스님들이 대신 진행하거나 가족이 모여 소규모로 기도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종교적 신념에 따라 의식을 변형하거나 생략하기도 하지만, 여전히 고인의 영혼을 위로하는 의미는 남아 있습니다.

49제 계산 방법

기준이 되는 날짜는 일반적으로 사망일을 포함하거나 발인일로 하며 가족과 상의하여 기준일을 정하게 되는데 이때 사망일이나 발인일 당일을 1일로 하여 계산하여 49일째 되는날을 말합니다. 돌아가신날로부터 초재, 2재일, 3재일, 4재일, 5재일, 6재일, 29재일로 각 7일마다 제사를 지내는 의식을 지냅니다.

49제 상차림

예로 9월 1일에 사망하였다면 9월 7일에 초재(7일째), 9월 14일에 재재(14일째) 등으로 나누어 7일마다 한 번씩 제사를 지내며 마지막 10월 19일에 49일째 의식을 큰 행사로 진행합니다.

49제 상차림

49제의 상차림은 고인이 생전에 좋아하던 음식들을 기본으로 준비하며 상차림의 순서에 다음과 같은 음식을 포함합니다.

열 구분상차림 음식
1열받침대와 술잔
2열서쪽에는 육류, 동쪽에는 생선
3열국과 탕류
4열우측에 식혜, 좌측에 생선포
5열곶감, 배, 밤, 대추 등

주의할 점

강한 향신료(소금, 마늘, 고춧가루)를 사용하지 않으며 팥과 같은 붉은 색 음식은 귀신을 쫓는다는 전통적인 믿음으로 인하여 사용하지 않습니다.

49제 계산기 바로가기

49제 계산기는 안드로이드과 앱스토어에서 각각 어플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기능은 간단하게 돌아가신 날을 기준으로 입력하면 초재일, 2, 3, 4, 5, 6, 49재일까지 계산되며 49재까지 며칠이 남았는지 디데이로 확인하고 저장하여 볼 수있도록 구성되어있습니다.

▽▼▽49제 계산기 바로가기(안드로이드용)▽▼▽

▽▼▽49제 계산기 바로가기(앱스토어용)▽▼▽

오늘은 49제 계산(49재 계산) 방법, 상차림, 계산기 바로가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현대에는 49제없이 간략하게 장례를 치르는기도 하지만 49제로 살아생전에 고인에 대한 마음을 기르는건 어떨까요?

함께읽으면 좋은 글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